STUDY/HTML&CSS
-
HTML: 태그의 중요성, 스크린 리더STUDY/HTML&CSS 2022. 3. 3. 17:15
HTML 태그가 개발자의 가독성, 그리고 SEO를 위해 중요하다고만 생각했는데 앞이 보이지 않는 분들을 위한 "스크린 리더" 프로그램에 HTML태그가 정말 정말 정말 중요하다는 사실을 배웠다. 태그와 태그는 같아 보이지만 스크린 리더에서 읽는 방식이 다르다고 한다. 물론 이 외에도 많은 태그들이 있다. 누군가 언급하지 않았다면 절대 인지하지 못했을 영역이라 큰 충격을 먹었기 때문에 이 글을 작성하고 있다. 평소 키오스크처럼 비장애인(그리고 기계에 친숙한 사람들)만 사용하기 편한 기기에 대해 종종 고찰해보았는데, 정작 웹의 접근성 부분에서 내가 이런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는 사실에 적절히 놀라기도 했다. 우연히 보게 된 강의에서, 덕분에 크게 반성하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IT가 일상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
HTML: DTD(Document Type Definition)란?STUDY/HTML&CSS 2022. 2. 22. 16:37
[ DTD(Document Type Definition; 문서 형식 정의)란 ] 브라우저에게 '이 문서가 어떤 문서 형식을 따르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HTML 개발을 진행하다보면 여러 브라우저의 호환성 문제인 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DTD를 작성하지 않아도 개발을 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웹 페이지가 비표준모드(Quirks mode)로 렌더링 된다. 우리는 개발을 할 때 어떤 브라우저를 표준으로 두고 개발을 할 수 없다. 이 표준이라는 기준도 참 모호하며, 만약 크롬을 기준으로 개발을 한다고 해도 IE나 사파리에서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문제가 터지는 것이다. 나는 이 비표준모드(Quirks mod..
-
HTML이란?STUDY/HTML&CSS 2022. 2. 22. 14:59
- HTML이란, Hyper Text Markup Language이다. [ 여기서 Hyper Text(하이퍼 텍스트)란? ] 순차적으로 텍스트를 읽는 접근을 뛰어넘어, 비순차적으로 텍스트에 접근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실제 종이로 된 책을 읽을 땐 앞 페이지부터 뒷 페이지까지 차례로 텍스트를 읽어나가는 게 기본이다. 그러나 위키 백과와 같은 웹사이트에서 글을 읽다가 목차를 클릭하면, 그 페이지 내의 다른 정보로 순식간에 이동이 된다. 이러한 것을 비순차적 접근이라 한다. [ 여기서 Markup Language(마크업 언어)란? ] 태그 등을 이용해 문서나 데이터 구조를 표현하는 언어이다. 사람들이 읽기 쉽게 하기 위해서, 어딘가에 말 그대로 '표시(Mark)'를 하는 언어인 것이다. 어떠한 문서를 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