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Terminal 명령어 정리[1] - config
$ git config --list : git의 리스트를 터미널에서 확인한다.
$ git config --global -e : global로 설정된 것을 edit(-e) 모드로 열어서 터미널에서 확인한다.
$ code . : 연결된 text editor 창을 연다. 운영체제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이 다르며, 나는 현재 VSCode와 연결되어 있다!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code"
$ git config --global -e
: global로 설정된 정보를 text editor에서 확인할 수 있다. git config 파일이 모두 열리는 걸 확인할 수 있다.
$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code --wait"
$ git config --global -e
: global로 설정된 정보를 text editor에서 확인할 수 있다. git config 파일이 모두 열리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wait 명령어를 적어넣었으므로 열린 파일이 종료되기 전까지 터미널에서 다른 명령어를 수행할 수 없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USERNAME"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USEREMAIL"
: 사용자의 이름과 이메일을 각각 설정한다.
$ git config user.name
$ git config user.email
: 사용자의 이름과 이메일 정보를 각각 불러온다.
$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input
[ core.autocrlf 설정 이유 ]
운영체제마다 에디터에서 새로운 줄바꿈을 할 때 들어가는 문자열이 달라진다.
- Windows > text \r\n
- Mac OS > text \n
이러한 차이점때문에 git repository를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쓰는 경우,
내가 수정하지 않았음에도 줄바꿈 문자열이 달라져서 git history나 git blame을 보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 Windows의 경우 ]
core.autocrlf = true 로 설정하면 윈도우에서 git에 정보를 넣을때 자동으로 \r (carriage-return)을 삭제해준다.
그리고 git에서 정보를 불러올 때는 자동으로 \r (carriage-return)을 붙여준다.
[ Mac OS의 경우 ]
core.autocrlf = input 으로 설정하면 된다.
여기서, Mac OS는 \n (line feed) 만 쓰고 \r (carriage-return)를 사용하지 않는데 왜 설정이 필요한가?
> Mac에서 이메일을 받아서 텍스트를 복사/붙여넣기 할 때, 실수로 \r (carriage-return)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애초에 문제를 예방해주는 것이다.
[ 참고 ]
본 git 명령어 정리는
유튜브 엘리의 https://www.youtube.com/watch?v=Z9dvM7qgN9s
깃, 깃허브 제대로 배우기 (기본 마스터편, 실무에서 꿀리지 말자) 영상을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혹시 문제가 된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